빅데이터

엘라스틱서치(Elasticsearch) 적용 후기
📙 1. 엘라스틱서치(Elasticsearch)를 사용하게 된 계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동물 데이터(130만 건의 데이터)를 사용할 일이 있었다. 필요한 작업은 '동물의 계층적 분류를 나타내는 값에서 특정 계층이 있는 동물을 조회하는 것'이었다. 이러한 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조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까 고민하였고 그 결과 엘라스틱서치(Elasticsearch)를 사용하게 되었다. 작업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자. 원하는 동작은 '동물의 계층적 분류(higherClassification)에서 특정 계층(포유류, 양서류, 조류,...)이 존재하는 동물들을 가져오는 것'이다. 데이터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. { ... "higherClassification": ..